LINE Corporation이 2023년 10월 1일부로 LY Corporation이 되었습니다. LY Corporation의 새로운 기술 블로그를 소개합니다. LY Corporation Tech Blog
LINE에서 Mobile VoIP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고품질 통화환경 제공을 위한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LINE에서 Mobile VoIP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강인규(IG), 곽정남(JN)입니다.이번 블로그에서는 새롭게 런칭된 팝콘 버즈(Popcorn Buzz)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소개 팝콘 버즈(Popcorn Buzz)는 인터넷을 통해 동시에 200명까지 통화할 수 있는 그룹 콜 서비스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팝콘 버즈(Popcorn Buzz)의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가상의 공간에 함께 모여서 대화나 회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림1 : Popcorn Buzz 서비스 구성도> 기존의 LINE에서도 프리콜이라는 1:1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팝콘 버즈(Popcorn Buzz)도 이러한 통화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좋은 통화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팝콘 버즈(Popcorn Buzz)의 클라이언트 모듈에는 LINE 메신저의 음질 향상을 위한 기술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팝콘 버즈(Popcorn Buzz)에서는
LINE에서 B612 Android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라인플러스에서 B612 Android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조현태라고 합니다. B612는 소설 '어린왕자'의 별에서 이름을 따온 앱으로, 셀피 앱 최초로 선 필터를 적용하였으며 3~6초 분할 동영상 촬영도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B612앱을 개발하면서 MediaCodec을 활용하여 비디오를 콜라주 형태로 만들고 최종 결과물인 MP4 파일을 생성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동영상 크기의 결정 B612 앱에서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간 동영상 인코딩 작업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화면에 그려지는 데이터를 GPU 메모리로부터 시스템 메모리로 가져와 이를 다시 하드웨어 인코더에 전달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CPU에서 각 픽셀에 대해 개별적인 연산을 수행하여 동영상 데이터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꾸준히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데이터의 크기가 작으면 작
LINE iOS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LINE iOS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Roy Kang입니다. Apple Watch 출시에 맞춰 Apple Watch의 기능을 간단히 둘러보고 Apple Watch 개발 방법, 라인에서의 대응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Apple Watch 소개 Apple Watch는 2014년 9월 9일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아이폰6, 아이폰6+, 애플 페이가 소개된 후 "One More Thing"으로 소개되었으며 38mm과 42mm의 사이즈, Watch, Watch Sport, Watch Edition 3가지 케이스가 공표되었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것은 물론 아이폰이 수신하는 알림을 볼 수 있으며 Apple이 아닌 3rd party 회사들을 위한 SDK도 공개되었다. Apple Watch는 터치 스크린과 화면을 스크롤 또는 줌인/줌아웃할 수 있는 디지털 크라운이 오른쪽에 붙어 있다. 그 아래에는 바로 연락처에 접근할 수 있는 피플 버튼이 있으며 시계 아래 쪽엔 사용자가 시계를 찼
LINE Dev
안녕하세요. 라인플러스 개발실에서 일하고 있는 박상진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글자 수를 세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라인 서비스에서는 프로필이름, 그룹이름, 상태메시지 등 여러 곳에서 글자 수를 세게 되는데요. 글이 화면에 부족하거나 넘치지 않게 하고, 스토리지 용량을 정확하게 할당하기 위해서는 글자 수를 정확히 세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특히 라인은 전세계에서 사용하는 서비스인만큼 다른 언어들의 글자 수도 정확히 셀 수 있어야 합니다. 어느 날 BTS(Bug Tracking System)의 프로필 이름에 emoji를 입력하면 1자가 2자로 표시되는, 글자 수가 정확히 카운트되지 않는다는 이슈가 올라왔습니다. emoji란 일본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지금은 Unicode 표준에 포함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그림문자 세트인데요. 처음에는 단순히 Surrogate를 제대로 카운트하지 못하는 문제라고 짐작하고 분석을 시작했습니다. Surrogate란 쉽게
LINE Engineering
안녕하세요, 저는 라인 주식회사에서 일하는 주니어 개발자 James 입니다. 오늘 저는 ‘2015 라인 개발자 워크샵 & 해커톤 (LINE Developer Workshop & Hackathon 2015)’ 에서의 저의 경험과 생각을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고자 이렇게 글을 작성합니다. 이미 모두 알고 계시듯 (^^;;), 라인 주식회사는 230개국의 이용자를 위한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을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회사입니다. LINE 개발자들은 전 세계 수많은 이용자들이 조금 더 즐거운 모바일 경험을 향유하도록 밤낮을 가지리 않고 협력합니다. 물론 이들이 일만 하는 건 아닙니다. LINE 개발자들은 한 템포 쉬어가는 의미에서, 또 팀워크를 보다 돈독히 하고자 매년 2번에 걸쳐 개발자의, 개발자에 의한, 개발자를 위한 축제인 ‘개발자 워크샵 (Developer Workshop)’ 을 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LINE+ 개발실에 일하고 있는 이석찬입니다.LINE에서는 9월 29일부터 30일까지 롯데호텔월드에서 있었던 DEVIEW 2014 행사에서 LINE의 기술을 소개하는 발표를 하였습니다. Mobile, 스타트업, 오픈소스 등 다양한 최신의 기술 트렌드와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에서, LINE은 3년이 넘는 기간동안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으로 성장한 얘기를 발표하였습니다.특정 분야의 주제로 한정하지 않고, 글로벌 서비스를 준비하는 모든 사람이라면 마땅히 알고 싶었던 다양한 주제를 45분동안 멋지게 풀어 내려고 하였습니다. 발표에는 LINE 원정대, LINE App의 개선 노력, Analytics, Global Network, Big Data, Abusing 등의 다양한 주제를 담았습니다. 이번 발표는 Deview 56개 세션 중에서 조회 수 1위의 발표자료가 되기도 하였습니다.많은 분들이 동영상을 기다리고 있는데, 발표 동영상은 발표일로부터 2-3주 후에 Deview 페이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