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LINE 미디어 플랫폼 개발과 운영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하태호입니다. 지난 글(4편)에선 앞서 블로그(서버 사이드 테스트 자동화 여정 1편, 2편, 3편)를 통해 소개했던 자동화 시스템에 이어서 성능 테스트를 자동화하게 된 계기와 목표, 구성한 환경에 대해 소개했는데요. 이번 글에선 자동화된 성능 테스트의 리포트를 생성한 방법과 자동화된 성능 테스트를 실제로 적용하면서 겪었던 일을 공유하겠습니다.
리포트 생성하기
시스템과 JVM 지표 시각화하기
미디어 플랫폼 조직에선 각종 지표를 좀 더 정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쉽게 분석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전사 모니터링 플랫폼 외에도 Grafana와 Prometheus를 이용해 다양한 시스템 지표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Prometheus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익스포터(exporter) 중 하나인 노드 익스포터를 사용하면 CPU와
안녕하세요. LINE 미디어 플랫폼 개발과 운영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하태호입니다. LINE 내 수많은 서비스가 사용하는 미디어 플랫폼은 앞서 블로그(서버 사이드 테스트 자동화 여정 1편, 2편, 3편)를 통해 소개했던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들은 자동화 시스템에 계속 추가되는 테스트 케이스 덕분에 단순한 API 호출과 관련된 문제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서비스에서 API를 호출하는 흐름 중에 발생하는 문제도 코드 리뷰 시작 전부터 확인하는 등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더 나아가 성능 테스트를 자동화하며 겪은 일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성능 테스트 자동화를 시작한 이유
개발 업무 환경에 테스트 자동화가 적용된 후 팀원 분들이 업무를 진행하는 방식이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전엔 변경 사항을 테
안녕하세요. LINE에서 테스트 자동화 업무를 맡고 있는 김유빈입니다. 저는 지난 2018년 11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EuroSTAR(Europe's No.1 Software Testing Conference)에 다녀왔습니다. EuroSTAR는 1993년부터 매년 유럽에서 열리고 있는 유럽에서 가장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분야의 컨퍼런스입니다. 매년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요. 올해는 bitcoin과 AI(Artificial Intelligence), microservices, IoT(Internet of Things) 등의 분야를 다뤘습니다.
EuroSTAR는 에너지가 넘치고, 재밌고, 친근한 분위기의 행사이며, 참여자들간의 네트워킹을 강조하는 행사입니다. 4일간 행사에 참여하면서 이미 EuroSTAR에 한번 이상 참여했던 분들은 물론 2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들도 쉽게 만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