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Platform Dev 팀의 iOS 개발자입니다.
안녕하세요. LINE Plus iOS Platform Dev 팀에서 iOS 개발을 하고 있는 김윤재입니다. 2021년에 Swift Concurrency가 등장했을 때 LINE Engineering 블로그에 Swift Concurrency를 소개하는 글(Swift Concurrency에 대해서)을 남겼습니다. 어느덧 글을 쓴 지 2년이 지났네요. 당시에는 주로 Swift Concurrency의 장점을 소개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최근 팀에서 Swift Concurrency를 적용할 때 성능 관점에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지 스터디를 진행하며 알게 된 점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Swift Concurrency의 두 가지 특징 성능 관점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살펴보기 전에 Swift Concurrency 내부 작동 방식의 두 가지 특징인 TaskPriority와 Suspension points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TaskPriority 작동 방식 Swift Concurrency에는 GC
LINE 앱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제안하고 구현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Tech-Verse 2022에서 장혁재 님이 발표한 다수의 연합학습을 지원하는 LFL 클라이언트 플랫폼 세션 내용을 옮긴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LINE Plus 메시징 클라이언트 엔지니어링 팀 장혁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10월에 출시한 LINE의 연합 학습(LINE federated learning, LFL) 기능 중 클라이언트 플랫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으로는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복수의 연합 학습이 동시에 운영되는 상황이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수의 연합 학습을 운영할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그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공유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연합 학습에서 사용하는 구체적인 머신 러닝 방법이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대해 관심 있으시다면 Kikuchi Haruka 님이 발표하신 연합 학습을 이용한 LINE 스티커 추천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합 학습이란 먼저 간략하게 연합 학습이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ABC Studio 팀에서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LINE+ ABC Studio에서 앱을 개발하고 있는 김종식, 남상혁입니다. 저희 팀은 현재 일본에서 운영하는 배달 서비스 '데마에칸(Demaecan, 出前館)' 프로덕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데마에칸(出前館)'은 2000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의 No.1 음식 배달 서비스로 3년 전 LINE에서 인수했고, ABC Studio는 2021년 봄부터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저희 팀에서는 이전에 일본 1위 배달 앱, 바닥부터 다시 짠다 - Recode 프로젝트 글로 React Native(이하 RN)에서 Kotlin Multiplatform Mobile(이하 KMM)로 기술을 전환했던 경험을 공유드린 적이 있습니다. Recode 프로젝트란 화면에 보이는 모든 스펙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코드와 아키텍처를 변경하는 프로젝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KMM에서 Flutter로 다시 한 번 Recode하게 된 배경과 Flutter를 사용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LINE+ ABC Studio 팀에서 앱을 개발하고 있는 김종식입니다. 저희 팀은 현재 일본에서 운영하고 있는 배달 서비스 '데마에칸(Demaecan, 出前館)' 프로덕트를 개발하고 있으며, 저는 그중에서 DriverApp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Flutter를 이용해 클라이언트를 개발하고 있는데요. 최근 진행한 과제 중에서 서버에서 발송한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하는 로직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패키징한 messaging-hub-sdk 이야기를 드리려고 합니다(데마에칸 서비스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먼저 발행된 오래된 프로덕트 디자인 리뉴얼하기를 읽어주세요!). MessagingHub란? MessagingHub는 ABC Studio 팀에서 개발해서 현재 데마에칸의 여러 프로덕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시징 플랫폼입니다. 웹소켓 프로토콜 기반 메시징 플랫폼이며 FCM(Firebase Cloud Messaging) 푸시와 이메일, SMS 등 다양한 방법으로
최고의 프로덕트를 만드는 ABC Studio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소개 '데마에칸(出前館)'은 2000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의 음식 배달 No.1 서비스로 2년 전에 LINE에서 인수했습니다. 현재 일본의 배달 서비스 시장은 한국보다 작은데요. 그만큼 성장 여력이 많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ABC Studio는 2021년 봄부터 데마에칸의 전체적인 리뉴얼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Recode'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스펙은 동일하지만 코드 베이스와 아키텍처를 100%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했는데요. 이 글에서는 여러 가지 리뉴얼 방식 중 기존 코드를 새로운 코드 베이스로 교체하는 기술로 결정한 이유와 그 실행 과정을 소개하겠습니다. 아참, 프로젝트 이름을 Recode로 정했더니 Record로 잘못 쓰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비슷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실 예정이라면 다른 이름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오래된 꿈 엔지니어라면 누구나 꿈꾸는 일이 있습니다. 마법의 빗자루
LINE 클라이언트 앱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인사말 안녕하세요. LINE 클라이언트 개발자 신윤권, 김윤재입니다. 저희는 지난 10월 27일과 28일, 양일간 LINE Platform Engineering 1 센터에서 사내 기술 공유 행사로 개최한 'LINE Client Day 2021'를 진행했습니다. 먼저 행사에서 다양한 주제를 공유해 주신 발표자분들과 행사에 참여해 주신 분들께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글에선 LINE Client Day 2021 행사에서 발표됐던 주제와 참가자들의 소감, 그리고 사내 행사를 진행하면서 저희가 느꼈던 점을 공유하겠습니다. LINE Client Day 소개 '새로 알게 된 지식을 옆자리 동료도 알게 하라'라는 말로 LINE의 기술 공유 문화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LINE의 많은 개발자는 열심히 연구하며 자신의 지식을 꾸준히 넓혀 나가고 있고, 그 과정에서 알게 된 새로운 지식을 수시로&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