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 앱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제안하고 구현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Tech-Verse 2022에서 장혁재 님이 발표한 다수의 연합학습을 지원하는 LFL 클라이언트 플랫폼 세션 내용을 옮긴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LINE Plus 메시징 클라이언트 엔지니어링 팀 장혁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10월에 출시한 LINE의 연합 학습(LINE federated learning, LFL) 기능 중 클라이언트 플랫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으로는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복수의 연합 학습이 동시에 운영되는 상황이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수의 연합 학습을 운영할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그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공유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연합 학습에서 사용하는 구체적인 머신 러닝 방법이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대해 관심 있으시다면 Kikuchi Haruka 님이 발표하신 연합 학습을 이용한 LINE 스티커 추천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합 학습이란 먼저 간략하게 연합 학습이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LINE DEVELOPER DAY 2020에서 장혁재 님이 발표하신 Sharing experience of adopting machine learning to LINE app 세션 내용을 옮긴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LINE을 개발하고 있는 장혁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머신 러닝 기능을 LINE 앱에 적용해 본 경험을 공유하겠습니다. 개발자가 아닌 분들이 읽어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상세한 기술 내용보다는 개발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이 글에서 예시로 설명드릴 세 가지 프로젝트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얻은 교훈들이 이번 글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일 것 같습니다. 온 디바이스 머신 러닝 온 디바이스(On-device) 머신 러닝이란 서버-클라이언트 관계에서의 모바일 클라이언트, 쉽게 말해 Android나 iOS의 LINE 앱 입장에
Droidcon 소개 Android 개발자에게 가장 유명한 개발자 콘퍼런스로는 Google에서 직접 주최하는 'Google I/O'와 'Android Dev Summit'을 꼽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글로벌 개발자 그룹인 'Google Developer Groups (GDG)'를 기반으로 열리는 콘퍼런스도 있고, 또 독자적으로 각 지역에서 열리는 Android 개발자 콘퍼런스도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DroidCon'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Android 개발자 콘퍼런스 네트워크로 알려져 있습니다. 2009년 'DroidCon Berlin'을 시작으로 주로 유럽에서 열리다가 현재는 유럽을 넘어 중동, 아프리카, 북미에 걸친 22개 도시에서 매해 열리고 있습니다. 저는 이번에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DroidCon2019 Vienna에 다녀왔습니다. 지금까지는 주로 아시아나 북미에서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에 참가했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유럽의 개발자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