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 NEXT에서 블록체인 메인넷 개발 및 메인넷에 필요한 여러가지 것들을 연구하고 개발하고 있습니다.
LINE DEVELOPER DAY 2021에서 소홍섭 님이 발표하신 계정(account) 기반 블록체인에서의 개인 정보 보호 세션 내용을 옮긴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LINE Blockchain에서 메인넷을 개발하며 팀을 리딩하고 있는 소홍섭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LINE Blockchain에서 연구하고 개발한 보안 거래와 관련해 '계정(account) 기반 블록체인에서 어떻게 거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먼저 블록체인에서 보안 거래를 가능하게 만드는 개인 정보 보호 강화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고, 블록체인의 주요 특징인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s)와 계정의 개념과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어서 이런 기술 중 LINE Blockchain에서
LINE의 기술을 소개하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E은 지난 2021년 11월 10일과 11일 양일간 기술 컨퍼런스 LINE DEVELOPER DAY 2021을 온라인에서 개최했습니다. 이 행사의 오프닝 키노트에서 CTO 박의빈 님과 AI 사업 책임자 이사고 신이치 님, 블록체인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요네야마 유스케 님이 LINE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 이야기했는데요. 이 키노트를 글로 옮겨서 두 번에 걸쳐 전달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글은 그 두 번째 편입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메신저에서 AI와 블록체인까지, LINE이 10년간 걸어온 길이란 제목으로 LINE의 지난 10년을 돌아본 뒤 하이퍼 스케일 AI를 목표로 삼은 LINE CLOVA에 대해 전달드렸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사고 님이 HyperCLOVA 언어 모델의 구조와 향후 계획을 전달한 뒤 요네야마 님이 LINE의 블록체인 전략에 대해 공유하겠습니다. HyperCLOVA 언어 모델의 구조와 해결해야 할 과제
LINE은 지난 2021년 11월 10일과 11일 양일간 기술 컨퍼런스 LINE DEVELOPER DAY 2021을 온라인에서 개최했습니다. 이 행사의 오프닝 키노트에서 CTO 박의빈 님과 AI 사업 책임자 이사고 신이치 님, 블록체인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요네야마 유스케 님이 LINE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 이야기했는데요. 이 키노트를 글로 옮겨서 두 번에 걸쳐 전달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블로그는 그 첫 번째 편으로 먼저 박의빈 님이 LINE의 지난 10년을 돌아본 이야기를 전해 드리고, 이어서 이사고 님이 하이퍼스케일 AI를 목표로 삼은 LINE CLOVA에 대해 전해 드리겠습니다. LINE 출시 후 10년 박의빈 님: LINE의 CTO 박의빈입니다. LINE DEVELOPER DAY 2021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올해(2021년)도 LINE DEVELOPER DAY가 온라인으로 개최됐습니다. 그래서 온라인의 장점을
가상자산 거래소의 플랫폼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LINE DEVELOPER DAY 2020에서 김창성 님이 발표하신 ELI: LINE Crypto Currency Wallet Platform 세션 내용을 옮긴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LINE BIZ Plus 김창성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희 팀에서 만든 ELI라는 플랫폼을 소개하겠습니다. ELI 프로젝트를 한 문장으로 줄이면 'LINE 가상자산 지갑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지갑은 돈을 보관하는 도구인데요. 가상자산 지갑이란 지갑 안에 가상자산을 넣고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게 만든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ELI란 LINE 그룹 내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자산 지갑 시스템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일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LINE BITMAX 거래소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안녕하세요. LINE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지홍이라고 합니다. 2018년부터 가상 화폐 LINK가 살아 숨 쉬고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적합한 프로비저닝 방법을 연구하고 이를 Kubernetes(이하 K8s)와 같은 도구를 활용해 구현하기까지의 여정에 대한 후기를 이번 글에서 나누고자 합니다. 글에서 언급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란 여러 블록체인 노드가 모인 한 그룹을 의미합니다. 이 그룹은 블록 단위로 새로운 정보를 기록하고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합의에 성공한 블록을 체인 형태로 연결해 나갑니다. 참고로 이 글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프로비저닝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누구라도 가볍게 읽어 볼 수 있도록 작성하였고, 거기에 Docker, Mesos, K8s에 대한 101 지식과 경험이 함께 한다면 더 재미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Developer Relations팀에서 LINE의 개발자와 개발자 문화를 세상에 알리는 Developer Advocate로 일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난 12월 21일, 라인과 한국정보과학회에서 공동 주최한 블록체인 경진대회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블록체인 경진대회는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링크체인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dApp 관련 아이디어와 구현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저는 블록체인 경진대회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대회 전날 강원도 평창에 미리 도착했는데요. 평창에서 맛본 한우 맛이 꿀맛이었다는 소식(!)과 함께 대회 현장의 열띤 분위기를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1차 데모 평가 현장 대회는 오전 9시부터 시작되었는데 본선에 진출한 10개 팀은 이른 아침부터 데모를 시연하기 위한 부스를 꾸미는 데 여념이 없었습니다.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내용을 담은 현수막까지 제작해 온 팀도 있어서 눈길을 끌었습니다. 심사위원분들은 각 부스를 돌아다니며 데모를 살펴보고 평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홀의 한편에는 라인 채용 부스도 마련되었는데요. 대회 기간 동안 200명이 넘는 분들이 채용 상담을 받고 가
LINE에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가진 개발자들이 많이 있는데요. Engineering 블로그에서 그런 멋진 개발자들을 한 분, 한 분 직접 찾아뵙고 인터뷰하여 여러분께 소개 드리려고 합니다. 그 첫 인터뷰를 LINE 블록체인 메인넷 개발자 김재석 님과 함께 했습니다. 함께 일하고 함께 성장할 때 기쁨을 느끼는 개발자, 김재석 Q. 반갑습니다. 재석 님.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김재석입니다. LINE에서 블록체인 개발자로 일하고 있고요. 가장 좋아하는 일은 사람들한테 도움이 되거나 사람들이 재미있어할 만한 제품을 만드는 거에요. 그래서 틈틈이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거나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도 많이 참여하고 있어요. 제가 만들거나 기여한 제품을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것을 볼 때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Q. 개발자라면 가장 기본적으로 받을 만한 질문부터 드릴게요. 재석 님은 어떻게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