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다크 모드 macOS의 다크 모드(dark mode)가 공개된 지 1년 만인 2019년 6월, WWDC에서 iOS를 위한 다크 모드가 공개되었습니다. 다크 모드란 iOS 13부터 지원되는 기능으로 사용자가 다크 모드를 선택하면 배경색을 어둡게 하고 텍스트, 아이콘 등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밝게 변경해 줍니다. 기존 흰 배경색에 검은 글씨의 화면 스타일은 라이트 모드(light mode)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다크 모드는 라이트 모드에 비해 저조도 환경에 이상적이고, 어두운 곳에서도 화
LINE에서 Yuki Live SDK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지난 4월 초에 사우디아라비아로 현장 테스트를 다녀왔습니다. LINE은 작년에 중동에서 LIVE 개인방송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번 현장 테스트의 목적은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LINE LIVE 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서비스 영상의 품질과 경쟁사 앱과 비교한 장점과 개선점을 파악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RTMP(Real Time Messaging Protocol)가 아닌 다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습니다. LINE 원정대: 원정대 결성 아랍어를 못하는 세 명의 개발자가 사우디에 간다? 이 말만 들으면 어딘가 모르게 불안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는데요. 다행히 현장 테스트에는 개발자뿐 아니라 LINE의 중동 전문가들도 함께 참여했습니다. 중동 출장을 여러 번 다녀온 중동 사업팀 두 분,
LINE에서 보안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 버그를 찾는 것을 즐기고 시큐어 코딩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보안실(애플리케이션 보안팀)에서 LINE 서비스의 보안 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김영성(Facebook, Twitter)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oIP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인 PJSIP의 취약점(CVE-2017-16872, AST-2017-009)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PJSIP는 표준 프로토콜인 SIP, SDP, RTP, STUN, TURN 및 ICE를 구현한 멀티미디어 통신 라이브러리입니다. IP-PBX, VoIP 게이트웨이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Asterisk 프레임워크에서도 PJSIP 기반으로 SIP 스택을 구현했습니다. 이번에 발견한 취약점은 64-bit 환경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SIP 요청을 처리할 때, signed int형을 unsigned long 형으로 변환하는 과정 중에, 정수의 부호 확장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며, 결과적으로 이 취약점은 버퍼 오버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취약점을 확인한 후 PJSIP 개발팀에 문의했지만 보안 이슈
LINE에서 VoIP Server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LINE에서 Group Call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박정준입니다. LINE에서는 “Closing the Distance”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그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LINE Group Call의 기능과 기술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LINE Group Call의 기능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동시에 200명까지 통화할 수 있는 LINE Group Call LINE Group Call은 LINE으로 동시에 200명까지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2016년 3월에 음성 Group Call 서비스를 먼저 출시하였으며, 이어서 작년 12월에는 영상 Group Call을 출시하였습니다. 음성 통화와 영상 통화 모두 언제 어디서나 무료로 제공됩니다(접속하는 데이터 환경에 따라서 통신 비용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LINE Group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