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LINE+ UIT 조직에서 프런트엔드 개발을 하고 있는 박한솔입니다. UIT는 LINE의 프런트엔드 조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며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관련 도구를 개발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뿐 아니라 일본과 태국, 대만, 베트남 등 세계 여러 나라의 엔지니어가 협업하며 기술을 공유하고 함께 성장하는 조직입니다(한국 UIT 조직에 대해서는 LINE Engineering 팀 소개 페이지에서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8월에 진행된 2022년 UIT 글로벌 워크숍 소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매년 UIT 글로벌 워크숍을 한국과 일본에서 오프라인으로 개최했지만, COVID-19 때문에 지난 2019년에 한국에서 개최했던 UIT 글로벌 워크숍을 마지막으로 잠시 중단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직 COVID-19가 끝나진 않았지만, UIT 글로벌 워크숍은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기술을 공유하며 개발자 성장에 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자리이기 때문에 각 국가의 개발자들이 서로 소통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온라인 UIT 글로벌 워크숍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UIT 글로벌 워크숍 주최는 일본 팀에서 담당해 주셨으며, 준비 위원회에는 한국과 일본, 대만, 베트남 팀에서 참여해 주셨습니다. 온라인으로 준비한 만큼 UIT 멤버가 아니더라도 어느 국가에 있던지 LINE 임직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행사였습니다.
온라인 워크숍 준비
각 국가의 준비 위원회가 선출된 뒤 Zoom으로 진행했던 첫 미팅의 분위기가 생각납니다. 온라인으로 준비하는 글로벌 워크숍은 처음이었기에 시행착오도 여러 번 경험했습니다. 서로 다른 지역과 나라에서 근무하는 준비 위원회가 온라인으로만 여러 활동을 기획하기에는 제약 사항이 많았습니다. 그렇지만 LINE에서는 그동안 여러 행사를 Zoom 웨비나로 진행해 왔기에 많은 분들이 온라인에서 진행하는 행사에 익숙했고, 개발자 소통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는 Developer Relations 팀이 있었기에 큰 어려움 없이 다양한 환경에 대비하고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쓰면서 그동안 작성했던 미팅 노트들을 하나씩 살펴봤습니다. 이번 워크숍의 꽃인 기술 공유 준비와 참여하신 분들이 다양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한 고민이 가득했습니다. 준비 위원회로 참여해 주신 일본 멤버 Nakajima 님의 소감을 들어보겠습니다.
Nakajima 님 소감
저는 이번 행사에 주최 측 리드 위원회(lead committee)로 참여했습니다. 주최 측으로 기획 단계부터 참여한 워크숍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과거 오프라인으로 진행해 왔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온라인으로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 기획해야 했습니다. 다른 위원회 여러분, 각국의 Developer Relations 팀 여러분, 16팀의 발표자 여러분, 이분들의 도움 없이는 이날을 무사히 맞이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UIT 조직은 다양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으며, 전 세계 엔지니어들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과거에도 그랬지만 이번 행사 역시 발표된 내용 하나하나가 모두 흥미로웠습니다. 준비 위원회라서 발표 세션을 모두 보지 못한 게 너무 아쉬웠고, 추후 녹화된 영상으로 보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팬데믹의 여파에 휘둘리고 있는 가운데 LINE UIT 멤버들이 온라인에서 모여 교류하며 LINE의 미션인 'CLOSING THE DISTANCE'를 조금이라도 실현했다면 이번 행사는 아주 의미 있는 행사였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UIT 글로벌 워크숍에서는 발표자로도 참여해 보고 싶습니다.
총 16개 세션으로 준비한 기술 공유 시간
기술 공유는 총 16개의 세션을 두 개의 트랙으로 나눠 진행했습니다. 각 국가에서 3~4명의 발표자가 다양한 주제로 세션을 진행해 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발표를 준비하며 온라인 리허설까지 함께해 주신 모든 발표자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이번에는 발표자로 참여해 주신 베트남의 Dam Quang Khoa 님의 소감을 들어보겠습니다.
Dam Quang Khoa 님 소감
저는 이번에 UIT 글로벌 워크숍에 처음 참여했습니다. 행사에서는 'Building Decentralized Application With NEAR(Building Dapp with NEAR and LIFF)'라는 주제로 발표했는데요. 블록체인 세계에서 많은 것과 연관돼 있어서 어려운 주제였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블록체인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개발자가 블록체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특히 LINE 애플리케이션을 광대한 블록체인 세계와 연결할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현재 새로운 형태의 블록체인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를 LINE 사용자들과 연결할 수 있다면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UIT 글로벌 워크숍은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좋은 행사였습니다. 분산형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인 NEAR에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고, NEAR는 스마트 계약에 Rust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Rust 언어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습니다. 다음 워크숍에서는 이 아키텍처에 대해 더 많이 공유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또한 오프라인으로 워크숍에 참여할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기를 바랍니다. 멋진 놀이터를 만들어 주신 주최 측에 감사드립니다.
워크숍 참여 소감
2022년 UIT 글로벌 워크숍은 온라인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UIT 멤버 외에도 모든 LINE 임직원이 참여할 수 있는 워크숍이었습니다. 또한 녹화한 발표 영상을 곧 사내에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에는 준비 위원회와 발표자, 참여자, Developer Relations 팀 외에도 많은 분들이 함께해 주셨습니다. 뒤에서 든든히 지원해 주신 각 거점의 리드 분들과 모든 세션에서 각자 담당하신 여러 언어로 통역해 주신 많은 통역사분들께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많은 참여자 가운데 이번에 UIT 글로벌 워크숍에 처음으로 참여하신 한국 UIT 멤버 김찬희 님의 소감을 들어보겠습니다.
김찬희 님 소감
저는 글로벌 워크숍에 이번에 처음 참여했습니다. 온라인으로 진행했음에도 진행이 깔끔했고 알찬 세션들이 많이 준비돼 있어서 굉장히 만족스러운 행사였습니다. 다른 나라에도 UIT 조직이 있다고 들었지만 어떤 일들을 하고 계시는지 잘 알지 못했는데요. 이번 워크숍을 통해 다른 UIT 조직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어떤 기술적 고민을 하고 있는지 엿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서로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더라도 프런트엔드 기술을 사용한다는 점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가 담당하고 있는 프로젝트에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 같은 내용들이 많아 귀를 기울여 열심히 들었습니다. 배울 점이 정말 많았고,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 UIT 글로벌 워크숍 때는 저도 다른 글로벌 UIT 멤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준비해 공유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UIT 글로벌 워크숍에서 가장 인상 깊게 들었던 세션은 Shibasaka Hiroyuki 님의 'Migration from Vue 2 to Vue 3' 세션이었습니다. Vue 2 + Webpack에서 Vue 3 + Vite로 마이그레이션했을 때에 성능이 향상되는 폭이 매우 커서 놀라웠습니다. 제가 이번에 새로 합류하게 된 프로젝트가 Vue 2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세션 내용을 참고해 Vue 3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시도해 보고 싶습니다.
또 흥미로웠던 세션은 김승현 님의 'Experience for performance optimization with Sentry, Lighthouse' 세션입니다. 성능 개선이 필요할 때 문제가 되는 부분을 찾기 쉽지 않은데 Sentry와 Lighthouse를 사용해 이를 탐색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주셔서 흥미로웠습니다. 그 외에 다른 세션들도 정말 흥미롭고 알찬 주제로 가득 차 있어서 즐겁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마치며
한국 UIT 조직에서는 기술 공유뿐만 아니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 많은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조직 문화를 함께 만들어 가며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개발자분들과 교류하는 것에 관심 있으시다면, 무엇보다도 개발자로서 함께 성장하기를 희망하신다면 채용 공고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