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안녕하세요. LINE에서 오픈소스 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김동혁, 김진아, 이서연입니다. 현재 Developer Relations 팀과 Open Source Program Office TF에서 LINE의 개발 문화가 오픈소스 문화와 더욱 가까워지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에 아래 글에서 LINE Open Source Sprint 행사를 소개 드린 적이 있는데요. 이번 LINE Open Source Sprint 2023에서는 어떻게 행사를 진행했는지 그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겠습니다.
어떤 행사였나요?
LINE Open Source Sprint는 LINE과 오픈소스 생태계를 연결하고자 하는 특별한 이벤트입니다. 약 한 달 정도의 행사 기간 동안 참가자들은 집중적으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며 서로 접점이 없었던 동료들과 만나 교류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이 행사를 통해 LINE 개발자들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직접 경험하고 더 나아가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네트워킹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LINE Open Source Sprint 2023은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했습니다.
- 프로젝트 모집: 1주일
- 이슈 준비: 1주일
- 참가자 모집: 1주일
- 개발 & 기여 작업: 4주
- 마무리 & 시상식: 1일
최대한 많은 분이 참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채널로 참가 신청을 받았는데요. 프로젝트를 이끌어 갈 멘토분들이 업무와 병행할 수 있으면서 참가자 중 낙오자가 없을만한 최대 참가자 수를 산정해 정했습니다. 행사에 참가한 프로젝트 목록과 참가 인원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총합 | 11명 | 48명 | ||
---|---|---|---|---|
프로젝트 | URL | 멘토 | 멤버 | |
LINE 오픈소스 프로젝트 | Armeria | https://github.com/line/armeria | 4명 | 18명 |
Central Dogma | https://github.com/line/centraldogma https://github.com/line/centraldogma-go https://github.com/line/centraldogma-python https://github.com/line/centraldogma-rs |
5명 | ||
Decaton | https://github.com/line/decaton | 2명 | 2명 | |
외부 오픈소스 프로젝트 | CPython | https://github.com/python/cpython | 1명 | 6명 |
RustPython | https://github.com/RustPython/RustPython | 1명 | 5명 | |
Node.js projects | https://github.com/nodejs | 1명 | 5명 | |
MDN Translated-contents | https://github.com/mdn/translated-content | 1명 | 3명 | |
Zeppelin | https://github.com/apache/zeppelin | 1명 | 4명 |
이번 행사는 글로벌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개발자분들과 함께 했습니다. 각 국가별 참가자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 | 일본 | 베트남 |
---|---|---|
34명 | 13명 | 12명 |
지난 행사와 달라진 점
지난 행사를 마치고 다양한 피드백을 청취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를 적극 수용해 이번 행사에서는 여러 방면에서 다음과 같이 개선했습니다.
행사 브랜드 심볼 제작
이번 행사에서는 디자이너의 도움을 받아 LINE Open Source Sprint 자체 심볼을 제작했습니다. 이 심볼은 행사 홍보 안내문 작성, 참가 기념품 제작 등에 두루두루 활용했는데요. 개발하면서 겪는 각 Git 작업 아이콘과 GitHub에서 기여 그래프(contribution graph)에 초록 점을 찍어나가는 것을 형상화한 심볼입니다.
참가 기념 컵 받침과 스티커도 제작했습니다. 실물 굿즈를 통해 행사에 참가했던 기억을 더욱 오래 간직하고 뿌듯하게 여기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제작해 나눠드렸습니다.
규칙 변경 1: 외부 오픈소스 참가
이번 행사에서는 LINE에서 공개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뿐 아니라 외부 오픈소스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외부 오픈소스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분들을 모아서 총 5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메인테이너를 모집할 수 있었는데요. 이와 같은 시도를 통해 LINE 개발자 문화에 다음과 같은 변화를 꾀하고자 했습니다.
- 회사의 오픈소스가 아니더라도 업무 중에 오픈소스 기여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함
- 업무 중에 오픈소스 기여 작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함
- 오픈소스 프로젝트 커뮤니티에서 LINE이라는 회사가 오픈소스 친화적인 개발 문화를 가진 회사라고 인식함
다음 행사에서도 계속해서 외부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기회를 만들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혹시 행사에 관심 있는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저희에게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dl_ospo@linecorp.com).
규칙 변경 2: 크레디트 제도 도입과 시상식
지난 행사에서는 각 오픈소스 프로젝트마다 참가 MVP를 선정해서 소정의 상품을 전해드렸는데요. 프로젝트를 이끌어 주셨던 멘토분들이 MVP에 선정되지 않은 참가자도 참가 의미를 실감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주셨습니다. 여러 방안을 고민한 결과 이번 행사에서는 오픈소스 기여 활동별로 크레디트를 부여해 각자의 기여 현황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도록 규칙을 만들었습니다. 크레디트는 다음과 같이 배분했습니다.
활동 | 크레디트 |
---|---|
PR(pull request) 열기 | 3 |
PR 머지 | 난이도에 따라 10, 7, 5 |
다른 사람의 PR을 리뷰 | 2 |
새로운 이슈 등록 | 1 |
프로젝트 멘토가 선정한 MVP | 10 |
행사를 마치고 난 뒤 서로의 활동 현황을 되짚어보고 가장 많은 크레디트를 얻으신 다섯 분에게 상품을 전해드렸습니다. 참가해 주신 모든 분들은 시상식에서 서로 격려의 박수를 보냈습니다.
가상 공간 제작
이번 행사에서는 비대면 소통에 최적화된 오픈형 메타버스 ZEP 플랫폼을 활용했습니다.
비대면으로 진행한 행사이기 때문에 원활한 소통을 우선으로 삼았고, 한 팀으로서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무료로 제공되는 기본 템플릿과 오브젝트를 활용해 원하는 공간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었는데요. 크게 기여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오피스 공간과 친목과 휴식을 위한 힐링 공간으로 나눠 제작했습니다.
오피스 공간은 정기적으로 모일 때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여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개인 공간과, 함께 코드를 보며 질문하고 해결할 수 있는 모임 공간으로 구성했습니다. 각 프로젝트별 오피스 공간을 구축해 정기 모임 시간에 맞춰 입장하기만 하면 팀원을 만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는데요. 이 공간에서는 특히 화상 회의 기능과 화면 공유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질의응답이 가능하다는 점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작업을 계속하다 보면 지치기도 하고 집중력이 흐트러질 수도 있는데요. 이때 이용할 수 있도록 작은 다락방 공간과 잠시 힐링할 수 있는 산책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원활히 소통하려면 무엇보다 팀원 간 친목이 좋아야 하는 만큼 미니 게임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서로 가까워질 수 있는, 재미있는 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했습니다.
행사가 시작되고 각자 자신의 오피스로 입장해서 옹기종기 모여 앉아 토론하는 모습을 볼 때면 괜스레 뿌듯함이 샘솟았습니다. 처음에는 낯선 환경과 조작법에 어색해 하기도 하셨지만, 금방 적응해서 화면 공유와 화상 채팅 기능까지 자유자재로 활용하시는 모습을 보니 안도감이 느껴졌습니다. ZEP에서 제공하는 채팅 문구나 여러 리액션들이 아바타 머리 위에 실시간으로 나타나는 리액션 기능은 함께 모인 공간에 귀여움을 더해 전체적으로 분위기를 한층 더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요소였습니다.
결과 공유
약 한 달간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열정적으로 참여해 주신 참가자분들 덕분에 이번 행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48명의 참가자가 총 96개의 PR을 제출했고, 행사 종료 시점까지 65개의 PR이 머지됐습니다!
4주에 걸친 노력이 눈에 보이는 결과로 나타나니 참가하신 분들이 더욱 큰 뿌듯함을 느끼시는 것 같았습니다. 지켜보는 운영진도 시간이 흐를수록 눈에 띄게 증가하는 수치를 마주하며 덩달아 뿌듯해지곤 했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신 덕분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훌륭한 성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모두에게 수고하셨고 열정적으로 참여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다시 한번 인사드립니다.
설문 결과 공유
행사를 마친 후 진행한 설문에서도 좋은 의견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행사를 마치고 진행했던 설문조사 결과입니다(상위 3개 응답).
만족도 | 만족스러웠던 부분 | 아쉬웠던 부분 | |||
---|---|---|---|---|---|
매우 만족 | 76.9% | 현지 동료들과 가까워짐 | 53.8% | 예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 많았음 | 15.4% |
만족 | 15.4% | 업무 시간에 참여함 | 50.0% | 언어 장벽 | 11.5% |
보통 | 7.7% | 글로벌 동료와의 만남 | 46.2% | 다른 동료들과 가까워지지 못함 | 7.7% |
현지 동료들과 가까워질 수 있어서 만족스러웠다는 답변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글로벌 동료와 만날 수 있었다는 점 역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반면 다른 동료들과 가까워지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는 답변도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동료들과의 만남과 교류가 만족도에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업무 시간에 참여해서 좋았다는 분들도 상당수 있었지만, 예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 많아서 아쉬웠다는 의견을 보내주기도 하셨습니다.
행사 이후에도 꾸준히 오픈소스 기여에 참여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도 다음과 같이 꾸준히 기여하겠다는 의견을 많이 보내주셨습니다. 이를 통해 이번 스프린트 행사가 오픈소스 기여의 첫걸음이 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오픈소스 기여 참여 여부 | |
---|---|
이번 스프린트에서 참여했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계속 기여할 것이다. | 50% |
기여할 다른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찾을 것이다. | 45% |
추가로 많은 참가자가 다음 LINE Open Source Sprint에도 참여하고 싶다고 의사를 밝혀 주셔서 더욱 뿌듯하고 만족스러웠습니다.
다음은 LINE Open Source Sprint 2023 행사와 관련해 보내주신 소감과 기타 의견들입니다.
- 번역 기여 활동을 통해 여러 문서를 집중해서 읽어볼 수 있어서 더욱 뜻깊고 재밌었던 시간이었다. 행사 후에도 꾸준히 기여하고 싶다.
- PR을 마치는 것이 어려웠지만 오픈소스를 통해 성장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앞으로도 더 기여 활동을 이어나가고 싶다.
- LINE Open Source Sprint에 두 번째로 참여했는데 이런 자리를 제공해 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도 더 기여 활동을 이어나가고 싶다.
-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참여했는데 항상 기여하는 것보다 더 많이 배우고 성장하며 더 많은 것을 얻어 가는 것 같다. 항상 이런 자리를 마련해 주신다는 점에 감사드린다.
-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한 것이 처음이었는데 많은 분들의 도움 덕분에 이 정도까지 기여해 볼 수 있었다. 오픈소스에 기여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드린다.
- 이렇게 좋은 행사를 마련해 주신 스태프분들께 감사드린다.
- 혼자 처음 시도하기에는 막막한 오픈소스 기여를 할 수 있게 해 준 좋은 기회였다.
- 일본에서도 이런 행사를 진행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 회사에서 지정한 연간 동료 평가 기간과 행사 기간이 겹쳤다는 점이 아쉬웠다.
- 미리 선정된 이슈가 더 많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행사 마지막 날에 참여해 주신 멘토분들의 의견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멘토분들의 의견도 정리해 공유드립니다.
- 오픈소스와 관련한 즐거운 행사를 기획해 주셔서 감사하다.
- 재미있는 이벤트에 초대해 주셔서 감사하다. 지금까지 진행해 본 오픈소스 관련 이벤트 중 최고의 경험을 얻었다고 생각한다.
- 쉽지 않은 프로젝트였을 텐데 끝까지 참여해 주셔서 기뻤다.
- 굉장히 의미 있는 이벤트를 기획해 주셔서 감사하다. 좀처럼 오픈소스에서 활동할 시간이 나지 않는 상황이었는데, 이 이벤트 덕분에 업무 시간을 활용해 활동할 수 있어서 뜻깊었다. 멤버분들은 상상 이상의 성과를 올려주셨다. 그분들께 이 이벤트가 오픈소스 활동의 첫걸음이 됐으면 좋겠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기여 프로젝트의 난이도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크레디트에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으로 인해 멤버의 입상을 놓쳤다는 점이다. - 밖에서 만나는 기여자와 비교했을 때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 행사에 참여해 주신 것 같다. 생각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 주셔서 멘토로서 감사했고 쉽지 않은 프로젝트였음에도 멘토분들의 기여하고자 하는 마음이 느껴져서 좋았다.
행사 운영진 소감
이번 행사를 진행하면서 운영진들은 평소 업무에 더해 행사 운영까지 하느라 바쁜 나날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평소 업무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LINE 오픈소스에 대한 많은 의견과 바쁜 나날도 잊게 만드는 참가자분들의 에너지로 즐거운 한 달을 보냈습니다. 행사 운영진의 소감을 정리해 봤습니다.
이서연
이번 행사에서는 LINE의 오픈소스뿐 아니라 외부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와 함께 했다는 점이 가장 뜻깊은 부분이었습니다. LINE에서는 바쁜 업무 환경 속에서도 더욱 쉽게 오픈소스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업무 중에 오픈소스에 기여할 때 어떤 사전 허가가 필요치 않고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데요. 한편으로는 LINE에서 누가, 어떤 오픈소스에 기여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습니다. 이번 행사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오픈소스 메인테이너들을 만날 수 있었고, 각자 독특한 사연으로 오픈소스 메인테이너가 됐다는 것도 알 수 있어서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앞으로도 이 오픈소스들과 LINE이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운영진이 세 명으로 늘어 더욱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었다는 점도 아주 든든했습니다. 평소 행사 운영을 전문으로 하는 업무를 하지 않았기에 그동안 행사를 진행할 때 미숙한 부분이 많았는데요. 이번에는 제 경험에 다른 운영진분들의 노력을 더해 더욱 풍성한 행사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매번 행사의 중간부터 마무리 단계 즈음에는 업무량 때문에 지치는 분들을 만났고,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좋은 경험을 만들어 보겠다는 의도가 번아웃으로 이어질 수도 있겠다는 우려가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운영진들의 노력으로 행사 중간 즈음에 참가 기념품을 건네주며 다시 한번 마음을 가다듬을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었습니다.
행사를 준비하고 운영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이처럼 여러 사람의 노력의 결실을 보고 직접 느낄 수 있다는 점이 저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곤 합니다. 올해 만난 여러분들 모두 정말 반가웠습니다. 내년 행사도 열심히 준비해 보겠습니다!
김동혁
주로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관련 업무만 해오던 저로서는 이번 LINE Open Source Sprint 2023 이벤트 운영 멤버로 참여하게 된 것은 새롭고도 특별한 경험이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니 대부분의 참가자분들이 만족하셨고 행사 후에도 오픈소스 기여를 이어 나가겠다고 피드백을 주셨는데요. 이를 통해 오픈소스 팀에서 추구했던, LINE 개발자들이 성장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고 LINE이 오픈소스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 작은 발판을 마련한 이벤트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저에게는 이벤트를 운영한다는 게 친숙하지 않은 일이기도 했고 오픈소스 기여 작업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 LINE Open Source Sprint 2023은 개인적으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 LINE Open Source Sprint 2024(?!)에서는 더욱 잘, 재미있게 준비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됩니다.
김진아
LINE에 입사해 참여한 첫 오픈소스 행사였기에 더욱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행사를 기획하고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설렘을 가득 안고 참여했는데요. 행사 시작 후 밤낮을 가리지 않고 참여해 주신 모든 참가자들 덕분에 뿌듯함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텅 비었던 공간이 어엿한 모임 공간으로 변화하는 과정 속에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제게는 너무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바쁜 와중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하나의 과제를 완성시켜 나가는 모습을 보며 '일'과 '성장'에 대한 열정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역시 혼자보다는 여럿이 함께 할 때 더욱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었고, 제가 더 많은 것을 얻어 가는 것 같아 보람찬 마음으로 행사를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마치며
이것으로 LINE Open Source Sprint 2023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외부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본 행사에 관심 있으신 분은 꼭 dl_ospo@linecorp.com로 연락 주세요. 내년에도 알찬 이벤트를 준비할 테니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