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의 오픈소스 정책과 문화를 만듭니다.
안녕하세요. Open Source Program Office TF입니다. Linux 재단에서는 오픈소스 관리의 표준 규격을 만드는 OpenChain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약 2년 동안 OpenChain 프로젝트에서 정한 규격을 LINE에 적용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는데요. 그 결과 오픈소스 관리의 국제 표준인 ISO/IEC 5230 준수 인증을 받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먼저 OpenChain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소개하고, OpenChain 규격을 LINE에 적용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또한 OpenChain 규격을 적용하는 것이 회사와 개발자 관점에서 어떤 의의가 있는지도 살펴보려고 합니다. LINE의 경험을 공유하는 이 글이 개발자 분들께는 오픈소스 관리의 중요성을 환기하는 계기가, 오픈소스 관리 업무를 하고 계신 분들께는 업무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OpenChain project 공식
안녕하세요. Open Source Program Office TF입니다. 저희는 LINE의 엔지니어들과 오픈소스 생태계를 융합해 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LINE이 Apache Software Foundation의 Silver sponsor로 합류하게 된 배경에 대해 소개합니다. Apache Software Foundation에 대해서 Apache Software Foundation은 오픈소스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자원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에 미국에서 설립된 비영리 단체입니다. 원래는 Apache HTTP 서버를 개발하기 위해 시작했지만, 현재는 350개 이상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지탱하고 있는 단체로 발전했습니다. 재단에서는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자세에 대해 이야기하는 'Apache Way'라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는데요. 이
안녕하세요. Open Source Program Office TF입니다. 저희 팀은 LINE의 개발 문화가 오픈소스 문화와 더욱 가까워지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LINE은 오픈소스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데요. 이런 환경에서 근무하는 개발자들이라면 단연 한 번쯤은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합니다. '아... 나도 시간 내서 언젠가 오픈소스에 기여해 봐야 하는데...' 그리고 이어서 다음과 같은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뭘 어디서부터 해야 할지 엄두가 안 난다 ㅠㅠ' 이런 고민을 많은 사람이 하고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저희 팀은 오픈소스 기여를 위한 사내 이벤트를 기획하고 진행해 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2021년 연말에 진행했던 오픈소스 스프린트 행사에 대해 소개 드리겠습니다. 어떤 행사였나요? 오픈소스 스프린트는 짧은 기간 동안 사람들이 모여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행사입니다. LINE에서는 다수의 오픈소스를 공개하고 있는데요. 2019년에는